네트워크/VoIP&IPT 2016. 12. 1. 11:31
VoIP/IPT - 03. CUCM를 이용한 IPT 서비스 구축
@ CUCM
- 리눅스 기반에서 동작하는 콜-메니저 서버
- 구성 : GUI 기반(그래픽 기반)
- 제품
1. MCS 78xx
- 콜-메니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서버
- MCS 7815, 7825, 7835, 7845
- MCS 서버가 없다면, VMware 사용 가능(단, 버전 업그레이드 불가능)
2. 라우터
- 보이스 게이트웨이 수행
- IP 인터페이스 (이더넷, 시리얼)
- PVDM(DSP)
- 음성 트렁크 인터페이스 (T1, E1)
3. 스위치 (권장 : PoE 기능 지원)
- IP 전화기 연결 및 전원 공급
- VLAN, Trunk, 링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 이중화 구성 권장
4. IP Phone
- Cisco IP Phone 6xxx, 7xxx, 9xxx
Ex) CUCM을 이용한 IPT 구축
0. VMware를 이용한 CUCM 설치
- 패스
1. 기본 환경 설정
1) 서버 확인
System -> Server -> Service IP 주소 확인 확인
2) NTP 서버 등록
System -> Phone NTP Reference -> NTP 서버 등록(time.bora.net)
3) 날짜 및 시간 형식 설정
System -> Date/Time Group -> 각각 사이트 날짜/시간 형식 설정 및 NTP 서버 지정
4) 구간별 코덱 사용 설정
System -> Region -> 각각 사이트 구간별 코덱 관련 설정(기본값 사용)
5) 음성 및 영상 콜 대역폭 제한(CAC : Call Admission Control)
System -> Location -> 각각 사이트 음성/영상 콜 대역폭 제한(기본값 사용)
6) Date/Time, Region, Location -> Device Pool 구성
System -> Device Pool -> Add New 클릭
- Device Pool 이름 설정
- CUCM group : default 선택
- Date/Time 선택
- Region 선택
- Location 선택
- SRST : disable 선택
- Save 클릭
7) DHCP 설정 (x는 라우터 번호)
System -> DHCP -> DHCP Subnet -> Add New 클릭
- DHCP Server 142.100.64.11 선택
- Subnet IPv4 Address 13.13.10x.0
- Primary Start IPv4 Address 13.13.10x.1
- Primary End IPv4 Address 13.13.10x.10
- Primary Router IPv4 Address 13.13.10x.254
- IPv4 Subnet Mask 255.255.255.0
- Domain Name cisco.com
- Primary DNS IPv4 Address 168.126.63.1
- Primary TFTP Server IPv4 Address(Option 150) 142.100.64.11
8) R1, R2, R3 도메인 이름 및 DHCP Relay Agent 설정 (x는 라우터 번호)
@ R1, R2, R3
conf t
ip domain-name cisco.com
!
int fa0/0.10x
ip helper-address 142.100.64.11
end
R1,R2,R3#wr
2. IP Phone 등록
1) IP Phone 및 CIPC 등록
2) End User 생성 및 IP Phone/CIPC 연동
3. PSTN 연결을 위한 트렁크 구성(CCS 방식)
1) 보이스 게이트웨이 트렁크 타입/체널 및 MGCP 설정
@ R1, R2, R3
card type e1 0 2
network-clock-participate wic 2
isdn switch-type primary-net5
!
controller e1 0/2/0
pri-group timeslot 1-5 service mgcp
!
int s0/2/0:15
isdn bind-l3 ccm-manager
isdn outgoing display-ie
isdn outgoing ie redirecting-number
!
mgcp call-agent 142.100.64.11
mgcp dtmf-relay voip codec all mode cisco
mgcp sdp simple
mgcp bind control source-interface loopback 0
mgcp bind media source-interface loopback 0
mgcp
!
ccm-manager mgcp
end
!
R1,R2,R3#show isdn status
4. 파티션 및 CSS 생성
- 각각의 사이트마다 Route-Pattern를 생성하기 위해서 생성해야 한다.
1) 파티션 생성
Call Routing -> Class of Control -> Partition
2) CSS 생성
Call Routing -> Class of Control -> Calling Search Space
3) CSS를 IP Phone 적용 -> reset 실시
Device -> Phone -> 사이트 전화기 클릭 -> CSS 적용 -> Save -> Reset 실시
5. Route Group 및 Route List 생성
- Gateway를 Route Group으로 생성한 이후, Route List에 포함시킨다.
- 그래서 패턴 생성시 게이트웨이를 Route List로 선택하여 사용한다.
- 이유 : 게이트웨이 2개 이상 사용할 경우(Ex : TEHO 콜)
1) Route-Group 생성
Call Routing -> Route/Hunt -> Route Group
2) Route-List 생성
Call Routing -> Route/Hunt -> Route List
6. Route-Pattern 구성
Call Routing -> Route/Hunt -> Route Pattern
7. Tollby Pass (TEHO 콜)
1) Route List 생성
Call Routing -> Route/Hunt -> Route List
2) Route Pattern 생성
Call Routing -> Route/Hunt -> Route Pattern
3) 테스트 실시
R1,R2,R3#terminal monitor
R1,R2,R3#debug isdn q931
8. SRST
- CUCM 서버 장애 발생시 라우터가 CME 기능을 이용하여 콜-매니저로 동작하는 기능
1) SRST 구성
System -> SRST -> Add New 클릭
2) Device Pool에 SRST 적용 및 Reset
System -> Device Pool -> 사이트-Pool 클릭 -> SRST 선택 -> Save -> Reset
3) IP 전화기 확인
CIPC -> 셋팅 버튼 -> 2. Device Configuration -> 1~2번 항목 확인(Primary 142.100.64.11, Backup 13.13.x.x)
IP 전화기 -> 셋팅 버튼 -> 3. Network Configuration -> 21~22 번 항목 확인(Primary 142.100.64.11, Backup 13.13.x.x)
4) R1, R2, R3 SRST 관련 설정
@ R1, R2, R3 (x는 라우터 번호)
application
global
service alternate Default
!
ccm-manager fallback-mgcp
!
call-manager-fallback
secondary-dialtone 9
ip source-address 13.13.x.x port 2000
max-ephone 10
max-dn 10 dual-line
system message primary 사이트 이름-SRST Mode
date-format yy-mm-dd
time-format 12
dialplan-pattern 1 02562점점점점 extension-length 4 <--- R1
dialplan-pattern 1 032440점점점점 extension-length 4 <--- R2
dialplan-pattern 1 312747점점점점 extension-length 4 <--- R3
5) CUCM 장애 실시
@ SW7
int fa0/5
shutdown
!
6) IP 전화기 확인 (전체 메세지 사이트 이름-SRST Mode 확인)
CIPC -> 셋팅 버튼 -> 2. Device Configuration -> 1~2번 항목 확인
IP 전화기 -> 셋팅 버튼 -> 3. Network Configuration -> 21~22 번 항목 확인
7) R1,R2,R3 SRST CME 설정 실시
8) CUCM 장애 복구
@ SW7
int fa0/5
no shutdown
!
'네트워크 > VoIP&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oIP/IPT - 02. CME를 이용한 IPT 서비스 구축 (0) | 2016.11.28 |
---|---|
VoIP/IPT - 01. IPT 개요 (0) | 2016.03.29 |